Recent Post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250x250
Tags
- 인공지능기초다지기
- 빅데이터분석기사
- 기초다지기
- 코딩테스트
- PY4E
- 데이터베이스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빅분기
- boostcoures
- SQL
- Oracle
- 파이썬
- 빅데이터 분석 기반 에너지 운영 관리자 양성 및 취업과정
- 정보처리기사
- Ai
- [멀티잇]데이터 시각화&분석 취업캠프(Python)
- 이기적
- AI 플랫폼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 boostcourse
- 부스트코스
- 코딩테스트 python
- 네이버부스트캠프
- 데이터 분석 기반 에너지 운영 관리자 양성 및 취업과정
- r
- 프로그래머스
- python
- 난생처음 R코딩&데이터 분석 저서
- DB
- 오라클
- Machine Learning
- Today
- Total
매일공부
[IT issue] 6세대 이동 통신(6G)에 주목하는 이유 본문
- 주제: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 for All) 시대 구현
- 6세대 이동 통신(6G)
-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핵심 기술
- 6G를 문제 없이 맞이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높은 전송 속도와 초연결, 상황인지 능력을 갖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
- 비용 통제가 매우 중요
> 각기 다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없음
> 기지국을 조밀하게 구축해야하는 문제의 발생 가능성
> 비용 효율을 높이려면 여러 사업자와 애플리케이션들에 엄청난 공유와 협력, 인프라 재사용이 필요, 이는 6G 세대에 개방적인 네트워크가 필요한 이유 - 미래에는 AR, VR, XR, 메타버스 등 더 많은 응용 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기존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속도가 필요
> 데이터 속도 향상을 위해 활용하는 고주파 대역에서 필수적인 빔포밍의 성능 향상에 딥러닝이 기여가능
- 삼성 6G 포럼 연사 한마디
- 6G로 누릴 초연결 경험의 세상, 지금이 바로 준비 적기
- 6G 상용화를 위해선 다양한 통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연구 개발 필요
- 6G에 AI가 내재되어야하는 이유, 기지국과 기기의 성능 최적화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까지 개선할 것
- 딥러닝은 6G 무선 통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무기, 산한의 협력도 매우 중요
- 6G는 단순한 네트워트 개념을 넘어, 새로운 세상으로 우리를 이끄는 여정
[삼성 6G 포럼] “우리가 6G에 주목하는 이유” 세계 통신 석학·전문가가 본 6G의 미래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 for All) 시대 구현’을 논의하고자 세계적인 석학과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삼성전자는 지난 13일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의 연구
news.samsung.com
앤드류스 텍사스대 교수 "6G 시대, 높은 전송 속도·초연결·상황인지 기술 필수" - AI타임스
\"2030년 상용화될 6G를 맞이하기 전에 높은 전송 속도, 초연결, 상황인지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필요한 연구는 머신러닝(ML)과 무선 기술 연구 통합, 센싱 기술, 개방형 네트워크, 새
www.aitimes.com
728x90
'IT 이슈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issue] 2022 주목할 5대 기술 트렌드(핀테크, 사이버보안, 수송, 푸드테크, 디지털치료) (0) | 2022.06.16 |
---|---|
[IT issue] 서비스 로봇 상용화 (0) | 2022.06.16 |
[IT issue] 10대 국가 필수전략기술(인공지능, 6G, 첨단바이오,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수소, 첨단로봇&제조, 양자, 우주&항공, 사이버보안) (0) | 2022.06.16 |
[IT issue] 인공지능(AI) (0) | 2022.06.16 |
[IT issue] 가상현실의 확장 개념들 (0) | 2022.06.1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