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데이터 분석 기반 에너지 운영 관리자 양성 및 취업과정
- 파이썬
- AI 플랫폼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 오라클
- [멀티잇]데이터 시각화&분석 취업캠프(Python)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인공지능기초다지기
- PY4E
- 부스트코스
- Oracle
- 빅데이터분석기사
- 정보처리기사
- 빅분기
- 네이버부스트캠프
- Machine Learning
- 데이터 분석 기반 에너지 운영 관리자 양성 및 취업과정
- r
- 프로그래머스
- Ai
- boostcourse
- 코딩테스트 python
- DB
- 코딩테스트
- 난생처음 R코딩&데이터 분석 저서
- 이기적
- 기초다지기
- python
- SQL
- 데이터베이스
- boostcoures
- Today
- Total
목록IT/기초 다지기 (6)
매일공부
탐색적 데이터 분석 확률론 – 통계학의 수학적 기반 통계학 – 데이터 분석과 모델링을 다루는 응용과학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 적은 표본(샘플)을 가지고 더 큰 모집단에 대한 결론(추론)을 도출하기 위한 일련의 복잡한 과정에 관해 다룬다 데이터 유형 정형화 정형 정리되어 있어 고정된 필드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반정형 고정된 필드에 저장X 데이터(HTML, 로그 등) 비정형 이미지, 동영상 등 정리X 분석하기 어렵고 복잡한 형태 시간 시계열 시간에 따라 측정(알별 온도, 주가 등) 횡단면 동시간, 서로다른 관측치 개체 측정(도시별 인구수 등) 패널 최단면 데이터를 시간에 따라 나열(연도별 점포 매출 현황 등)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population) : 관..

1) 행렬matrix 이란? - "행(row)벡터"를 원소로 가지는 2차원 배열 >> 배열(array)이란? 동일한 데이터 타입의 하나 이상의 값을 저장하는 구조, 1차원 구조 >> 2차원 배열 : 1차원 배열들의 집합, 1차원 벡터들의 집합 - 행(row)와 열(column)이라는 인덱스index를 가짐 - 표기 순서 : 행row - 열col - 행렬의 특정 행(열)을 고정하면 행(열)벡터라 부름 - 파이썬 스타일 코드로 표현한 벡터 각 데이터의 이름을 함께 표현 >> 딕셔너리로 표현 데이터의 위치나 순서가 바뀌지 않아야 한다면 >> 튜플로 저장 vector_a = [1, 2, 10] #리스트로 표현 vector_b = (1, 2, 10) #튜플로 표현 vector_c = {'x':1, 'y':2, '..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 jupyter 설치 : conda install jupyter - jupyter 실행 : jupyter notebook (주피터가 있는 경로에서 입력해야 실행됨) 더보기 주피터를 설치했는데 경로를 변경하고 싶다면 링크글 참고 주피터 노트북 초기 실행 폴더 경로 변경하기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하면 시작 폴더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고 작업할 때 불편함을 겪을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초기 실행 폴더 경로를 변경해주고자 합니다.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할 때, anaconda code-code.tistory.com - 실행 명령어 : ctrl + enter / shift + enter / alt + enter - 위에 셀 추가 : a - 아래에 셀 추가 : b - 셀 copy : c - 셀 오려두기 : x - 셀..
- Windows windows key + E : 내컴퓨터 실행 windows key + R : 윈도우 실행창 보여줌 - cmd 명령어 cd 폴더 이름 or 절대경로 : 폴더(디렉터리) 이동(chage directory) cd / : 현재 하드드라이브의 원점으로 이동(ex, c:\) mkdir 폴더 이름 : 폴더를 만들어라(make document) copy con 파일 이름 : 파일을 만들어라 > 파일 생성 됨 > 내용 입력 > Ctrl key + C 작성 종료 dir / ls :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 목록을 보여줌 dir ..\파일명 : 현재 내가 있는 폴더 기준(상대 경로)으로 한 칸 앞('..')으로 파일 이동 copy ..\..\파일명 .\ : 현재 내가 있는 폴더에서 2칸 앞(..

1) 컴퓨터 과학: 문제 해결에 대한 학문 input > 컴퓨터 과학 > output ☞ 입력과 출력을 표현하기 위한 약속(표준) = 2진법, 비트 2) 2진법: 0과 1만 사용 3 = 2¹ × 1 + 1×1 = 011 4 = 2² × 1 + 2¹ × 0 + 1×0 = 100 5 = 2² × 1 + 2¹ × 0 + 1×1 = 101 8 = 2³ × 1 + 2² × 0 + 2¹ × 0 + 1×0 = 1000 3) 비트 bit - 정보를 저장하고 연산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단위 - 0과 1, 두가지 값만 가질 수 있는 측정 단위 - 바이트 byte : 8개의 bit가 모여 만들어진 것 4) 문자의 표현 - ASCII(아스키코드/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